한국미학 - 문자도 이야기
글자에 담긴 삶의 가치와 미학조선 민화 속 문자도는 단순한 글씨가 아니다. 유교적 덕목과 민중의 미학이 결합된, 삶을 가르치고 꾸미는 그림이었다. 조선 후기 민화 중에서도 독특하고 인상적인 장르 중 하나가 바로 '문자도(文字圖)'다. 문자도는 말 그대로 '글자를 그림처럼 그린 그림'이다. 하지만 단순히 글자를 쓰는 것이 아니라, 글자의 획 안에 다양한 상징물, 자연물, 동물, 식물, 도상 등을 삽입하거나 글자 자체를 장식적으로 형상화하여 회화처럼 표현한다. 문자도는 조선 후기 유교적 가치관의 시각적 구현으로, 개인과 사회가 중시했던 도덕적 덕목, 삶의 자세, 인간다움의 기준을 미적으로 시각화한 민화 장르이다.문자도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은 유교적 8덕목을 바탕으로 한다. 흔히 등장하는 글자는 효(孝), 제..
2025. 4. 9.